본문 바로가기
면접

#3 취준생들을 위한 면접준비(다대다 면접,다대일 면접)

by 인성만점 2023. 6. 1.

#1 다대다 면접

대부분 채용 전형은 서류 → (인적성 or AI면접) → 실무진 면접 → 임원면접으로 이루어진다. 혹은 서류 → 실무진+임원면접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기업마다 다르지만 면접관이 2명 이상, 면접자도 2명 이상 일 때 다대다 면접이라고 한다. 면접관이 2명 이상이고 면접자가 1명일 때 면접 혹은 그 반대일 경우 다대일 면접이라고 한다.  다대일 면접과 다대다 면접일 때 분위기가 당연히 굉장히 다르지만 면접에 맞게 면접 분위기를 이끌어 갈 수 있는 팁을 주고자 한다. 

다대다면접일 경우 본인의 발화량을 늘리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어떤 분들은 '면접관의 호기심을 자극해라.'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개인적인 생각에는 다대다면접일 경우에 면접관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발화량을 줄이는 것은 좋지 않은 결정이라고 판단된다. 

 

각 면접 파트 때마다 면접 시간이 정해져 있고 다대다면접이면 타 지원자들에게도 질문해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서 짧게 말한다? 그러면 본인을 어필할 수 있는 시간을 타 지원자들에게 나눠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니 다대다면접일 경우에는 면접관의 호기심 보다는 본인이 준비한 내용을 충분히 말할 수 있도록 발화량을 1분 30초 이상 가져가도 된다. 

 

너무 주저리 주저리 말하라는 말이 아니고 본인을 어필 할 수 있는 시간을 활용하자는 말이니 쓸데 없는 말을 많이 하지는 말자. 예를 들어 사례와 예시를 통해서 상황을 설명하고자 할 때, 배경에 대한 설명을 길게하고 결과를 짧게 말하라는 것은 아니다. 추가 질문을 들어오게끔 유도하는 것보다는 궁금증을 한 번에 해소해주자라는 얘기다.

 

#2 다대일 면접(면접관 2명 이상, 지원자 1명)

다대일면접은 다대다면접과는 다르게 발화량을 줄이면서 흔히 면접 스킬이라고 말하는 호기심을 유발해도 괜찮다. 온전히 30~50분 동안 혼자 면접을 볼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에 짧게 대답을 하면서 추가 질문을 유도해도 좋다. 다만 시간이 많기 떄문에 지원자가 말하는 말에 허점이 있다면 압박 질문이 들어 올 수 있고 압박면접이 시작된다면 일관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 압박면접이 시작되면 가능한 답변을 길게하지 말고 짧게하면서 다음 질문을 기다리길 추천한다.

 

#3 다대일 면접(면접관 1명, 지원자 2명 이상)

개인적으로 면접관 1명, 지원자 2명 이상의 다대일면접도 다대다면접처럼 발화량이 중요하다. 하지만 면접관1명일 때의 다대일 면접이 가장 힘든 케이스라고 생각한다. 무슨 말을 하더라도 우선 면접관은 서류를 읽으면서 아이컨텍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니 면접관이 본인에게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 알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뒷말을 흐리지 말고 끝까지 답하는 것을 추천한다. 생각보다 많은 지원자들이 #3 다대일면접일 경우 아이컨텍이 어려워서 준비한 것보다 발화량을 종종 줄이곤 한다. 하지만 아이컨텍이 안된다고 해서 안듣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겁먹지 말고 준비한 내용을 말할 수 있도록 #1 다대다면접처럼 발화량을 충분히 가져가자.

 

 

..by..인성만점